미생물 이용 instance(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9 08:24
본문
Download : 미생물 이용 사례.hwp
[과학] 진흙으로 돌 만드는 미생물 발견
미생물 생명유지 유전자 밝혀져
흙속에서 `신약` 캔다
[농기원] 독성없는 미생물 농약 대량생산 단계
[KAIST] 무공해 생물농약 개발
[귀순자] 폐수지 재활용 휘발유 추출 신기술 개발
[環境연구원] 섬유업체 폐수분해 미생물 개발
[속썩는 팔당호] 수온 올라 미생물 활성화…수질 악화
[과학기술] 전통된장에서 피 응고 막는 물질 발견
[環境] 독과학자, 유해물 흡수 페인트 개발
러시아, 신종탄저균 개발 가능성
흙속에서 `신약` 캔다
1998.08.26(수) 조선일보
화학-농약-제약 업계에는 10년이상씩 `흙을 파며` 지내는 이들이 적 지 않다. 이들이 하는 일은 전국의 각종 흙을 캐내 그 안에서 새로운 미생물을 찾아내는 것. 이렇게 찾아낸 특이한 균들은 곧바로 고부가가치의 신물질-신농약-신의약품으로 이어진다.
흙 1g속에는 방선균, 곰팡이, 세균 등 각종 미생물이 최소 3백만개 이상 들어있따 아직 인류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유용한 세균들이 그야 말로 `득실`거린다고 보면 된다 종근당 전형식 실장은 `아직도 미생물 을 무조건 병원균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며 `종근당에서는 국내외 출장자들이 현지 토양을 채취해 오는 것이 주요 임무중 하나`라고 말했 다.
제일제당 중앙연구소 이철훈 박사도 10여년이상째 `땅 …(To be continued )






미생물 이용 사례미생물이용사례 , 미생물 이용 사례자연과학레포트 ,
미생물 이용 instance(사례)
순서
미생물 이용 instance(사례)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미생물 이용 사례.hwp( 95 )
,자연과학,레포트
설명
미생물이용instance(사례)
다. 벌써 15년째 국내외를 돌아다니며 각종 흙속 균들을 뽑아내온 그는 균모양만 봐도 종류와 쓰임새 등을 훤히 꿸 정도라고 한다. `흙속에서 노다지를 캐낸 다`는 게 이들의 자부심.
사진說明(설명) : 종근당 천연물탐색실 연구원들이 토양속 미생물로 각종 test(실험) 을 벌이고 있따
종근당 의약연구소 천연물탐색실 김종관 팀장은 `균도사`로 통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