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20:37
본문
Download :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hwp
유․불 교체를 비롯하여 신분계층과 향촌구조, 가족제도와 혼․상․제례 등의 change(변화)가 수반되었고, 다른 한편에서는 민생의 안정과 권농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의식주 생활이 크게 향상되고 인구와 농지 또한 획기적으로 증가되었다. 하지만 양인신분 농민들의 양반층으로의 신분상승은 용이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었기 때문에 4분설에서의 양반․중인․양인․천민의 신분체계는 조선사회의 유교이념과 생산구조를 기저로 하는 사회 신분관에 입각해 있는 것이라 하겠다. 4분설에서는 양반이 최고의 지배신분층으로서 고려 말에 형성되었음을 강조하면서 양반과 노비, 양반과 중인, 양반과 양인의 관계를 설정하여 그 논리를 옹호하였다. 새 왕조의 개국과 함께 직면한 신분 재편성의 문제는 지배신분의 이원화와 양인신분의 확대로 해결 방향을 잡고 있다. 4분설에서의 양반과 양인의 신분설정은 지배신분층과 피지배신분층의 정치적․사회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Download :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hwp( 60 )
2. 4분설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3. 양분설(양천설)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사회로의 전환은 단순한 왕조 교체에 그친 것이 아니라, 정치․경제․사회․文化 등 여러 방면에 걸친 커다란 진전을 가져왔다. 조선시대의 사회신분은 학자에 따라 달리 분류될 수도 있겠으나 대체로 법제적인 구분(크게 良․賤 으로 구분)과 사회 통념상의 구분(士族이란 지배계급이 고려시대부터 피지배층인 일반 양인과는 구분되어 있었고, 그 사족은 조선 초기에는 양반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대체로 15세기에는 양반(사족)․상민․천인의 세 계층으로, 16세기 이후에는 중인층의 형성으로 양반․중인․상민․천인의 네 계층으로 대별된다) 있다.
순서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조선 초기의 사회신분 편제에 대해 사회신분 구성이 법제적으로 양인과 천인만으로 인정되
그렇다면 논란이 되는 조선시대의 신분 구분 중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지배층으로서 여러 가지 특권을 누리며 신분층을 이끌어 갔던 ‘양반’의 성격을 통해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을 고찰해 보자.
.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다. 이들은 국가의 재정 기반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조선왕조의 기본정책에 소규모 신분상승을 위한 명분적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이들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었다. 다만 조선사회가 지배신분층과 피지배신분층 간의 교류가 활발하지 못한 신분제 사회였으나, 상호 상하 이동운동이 금지된 사회가 아니었기 때문에 양반과 양인 관계에서 그 구분의 기준이 모호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피지배층으로 양인신분의 범주에 속하는 신분집단이 수행하는 사회적 역할이 조선사회의 생산 활동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신분사 연구에 있어 많은 意見이 대립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법적 제도에는 양천의 규정만 보이는 데 비해 실제적으로는 良身分에서 양반․중인․양인이 별도로 파생되어 나간 적지 않은 사례(instance)를 당시의 사료나 사회관습에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
조선의 사회 모습 (4분설과 양분설, 그리고 양반의 성격)
4분설은 조선의 사회신분의 실상에 대한 견해로 조선의 사회신분이 良賤(양천)의 큰 구분 위에서 상급신분층으로서 兩斑(양반), 그리고 奇術官(기술관)․庶孼(서얼)․胥吏(서리)․軍校(군교) 등의 중간계층으로 中人, 일반 농민층으로 良人, 賤民의 주류인 奴婢 등으로 구분되는 신분계층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학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