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5 20:15본문
Download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hwp
맹자에 따르면 사람의 본성은 의지적인 확충(擴充)작용에 의하여 덕성(德性)으로 높일 수 있는 단서(端緖)를 천부의 것으로 갖추고 있다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 등의 마음이 4단(四端)이며 그것은 각각 인(仁)·의(義)·예(禮)·지(智)의 근원을 이룬다. 그 후 유교는 성선설을 도덕실천의 근거로 하여 계승되고 발전하였다. 이 성선사상(性善思想)은 선악(善惡)은 어느 쪽으로도 기를 수 있다는 세석(世碩)이나 후한(後漢)의 혁신적 사상가 왕충(王充)의 성론과 대립되고, 선악의 상대적 전환가능성이 있는 순자(荀子)의 이른바 성악설(性惡說)과도 크게 다르다.
● 성악설 [性惡說]
설명
이 사상은 백성을 정치적 권력에 의하여 일방적으로 규제하려고 한 이사(李斯)·한비자(韓非子) 등 법가에 계승되었으나 유가의 정통사상으로서는 성선설(性善說)에 압도되었다. 이런 뜻에서 성(性)은 선(善)이며, 공자(孔子)의 인도덕(仁道德)은 선한 성에 기반을 둠으로써 뒤에 예질서(禮秩序)의 보편성을 증명하는 정치사상으로 바뀌었다.
.
맹자(孟子)가 주장한 중국(中國)철학의 전통적 주제인 성론(性論). 사람의 본성은 선(善)이라는 학설이다.





다.
● 성무선악설(=성무선무악설)
Download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hwp( 34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성악설은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감성적(感性的)인 욕망에 주목하고, 그것을 방임해 두면 사회적인 혼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악이라는 것이며, 따라서 수양은 사람에게 잠재해 있는 것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가르침이나 예의에 의하여 후천적으로 쌓아올려야 한다고 하였다.
.
순서
당나라의 유학자 이고(李翺)는 도가(道家)와 불교사상의 influence(영향)을 받아 《복성서(復性書)》에서 성의 본연인 선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자는 맹자(孟子)의 성선설(性善說)에 반대하고 나섰으나 그 목적은 맹자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에게 수양을 권하여 도덕적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순자의 사상은 전국시대의 혼란한 사회상에 바탕을 두었다. 성론을 인간의 본질로서의 인성(人性)에 대하여 사회적·도덕적인 품성이나 의학적·생리학적인 성향을 선악(善惡)·지우(知愚)라는 추상적인 기준에 따라 형이상학적으로 해석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현실의 사람을 언제나 이념적인 모습으로 파악하게 된다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선이나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선악혼재설, 성삼품설
고대 중국(中國)의 유학자 순자(荀子)가 주창한 학설로서 사람의 타고난 본성은 악이라고 생각하는 윤리사상. 인간의 도덕적 수양(修養)을 중요한 과제로 삼았던 유가에서는 그 수양의 가능성이나 수단과 관계되는 문제를 놓고 본성론(本性論)이 활발히 전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