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 / ‘듀이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4 15:01
본문
Download :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hwp
이 책은 번역을 한 책이라서 그런지 한번 읽었을 때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았다. 다행히도 생각보다 책이 일찍 도착하여 나는 더 빨리 이 책을 볼 수 있었다. 나는 여기서 과거지향적인 전통적 교육에 입각...
‘듀이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을 읽고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 / ‘듀이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
다.
설명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 / ‘듀이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
전통적 교육은 학생들에게 성인들의 표준에 맞추어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여, 단순 주입시키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통적 교육은 그 용어 자체에서부터 무언가 보수적이라는 느낌이 확 와 닿았다.
나는 이 책에서 경험과 교육이라는 주제에 대해 더 관심이 있었고, 또 더 중점적으로 보았다. 여기서 듀이는 진보주의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교육 운동을 말하고 있다아
순서
‘듀이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을 읽은후 아동과 교육과정...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 나는 여기서 전통적 교육보다는 진보주의 교육에 더욱 관심이 갔다. 특히, 제1장 전통적 교육과 진보주의 교육 , 2장 경험이론의 필요성 , 제3장 경험의 기준이었다. 그리고 강제적 주입 교육이라는 느낌도 있었다. 이럴 경우, 어린 학생들은 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경험범위를 훨씬 넘어선 것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가 더욱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Download :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hwp( 54 )
나는 교수님께서 내주신 6가지 주제 중에서 이 주제가 가장 끌렸었다.
‘듀이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을 읽고 아동과 교육과정...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
새교육은 학습자의 자유를 강조한다고 했다. 그리고 새교육 운동자들은 전통적 교육은 너무나 과거 지향적이라서 현재나 未來(미래)의 문제를 다루는 데에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했다.)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8530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9/%EC%95%84%EB%8F%99%EA%B3%BC%EA%B5%90%EC%9C%A1%EA%B3%BC%EC%A0%95%5B1%5D%20%EA%B2%BD%ED%97%98%EA%B3%BC%EA%B5%90%EC%9C%A1-8530_01_.gif)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8530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9/%EC%95%84%EB%8F%99%EA%B3%BC%EA%B5%90%EC%9C%A1%EA%B3%BC%EC%A0%95%5B1%5D%20%EA%B2%BD%ED%97%98%EA%B3%BC%EA%B5%90%EC%9C%A1-8530_02_.gif)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8530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9/%EC%95%84%EB%8F%99%EA%B3%BC%EA%B5%90%EC%9C%A1%EA%B3%BC%EC%A0%95%5B1%5D%20%EA%B2%BD%ED%97%98%EA%B3%BC%EA%B5%90%EC%9C%A1-8530_03_.gif)
![아동과교육과정[1] 경험과교육-8530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9/%EC%95%84%EB%8F%99%EA%B3%BC%EA%B5%90%EC%9C%A1%EA%B3%BC%EC%A0%95%5B1%5D%20%EA%B2%BD%ED%97%98%EA%B3%BC%EA%B5%90%EC%9C%A1-8530_04_.gif)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에 반해 진보주의 교육은 교육에 있어서 무언가 자유롭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두 입장 모두 너무 극단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단 진보주의 교육은 경험을 통한 학습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그런 부분은 그냥 넘어가지 않고 또 다시 읽어보고 이해가 되면 넘어가곤 했다.
그래서 나는 당장 학교 도서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이 책을 예약했다.
교육이론 歷史에는 교육을 보는 두 가지 입장, 즉 전통적 교육과 진보주의 교육이 있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