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17:44
본문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hwp
여음은 원시시가의 생성과 더불어 발생하여 향가 고려가요에 이르기 까지 그 모습을 변모하며 발전해 왔다.
②서경별곡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여음을 형태별로 나누어 보자면 ①‘위’ 계열 ②‘아으’ 계열 ③‘아소 님하’ 계열 및 그 밖에 몇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체계에 따라 여음을 설명(說明)하기로 한다. 그라고 ‘아소님하’로 다시 한 번 이 부분이 부연되고 있지만 詩情의 의미는 ‘위’ 이하 부분, 즉 제5행까지에서 일단락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 부분의 ‘위’ 이하부분은 의미가 없는 악기의 구음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려가요 작품들 가운데 ‘위’라는 어구가 쓰인 작품으로는 <사모곡>,<서경별곡>,<가시리>, <한림별곡> 등이 있다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외 다수
순서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
1.여음의 종류
餘音이라는 것은 흥과 멋을 돋구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效果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을 말한다. 정병욱(1982), “악기의 구음으로 본 별곡의 여음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새문사)
.
①사모곡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다.
1) ‘위’ 계열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Ⅱ.본론
서경별곡을 보면, ‘위’로 이끌어지는 부분은 “위 두어렁셩 다링디리”로서, 한 절이 끝날 때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다.설명
여기서 ‘위’ 부분이 의미가 없다는 것은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hwp( 87 )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사모곡>은 單聯의 노래이므로 <서경별곡>처럼 분절의 기능은 없으나 ‘위’ 부분이 앞서의 내용을 일단락하고 바로 아래에서 내용을 요악 제시하고 있다 이를 다른 관점으로 본다면 다음 부분의 내용을 ‘위’ 부분이 환기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다 즉 노래의 핵심이 되는 내용을 이끌어 주는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고려가요 작품들에 나타난 여음의 종류를 계열별로 나누어 보고 계열별 작품에 따라 여음의 기능과 특질을 함께 알아보도록 한다. 그러나 노래의 한 절만 싣는 <시용향악보>에 후렴 부분까지 introduce된 것으로 보아 이 부분까지가 악곡사의 공통성을 지닌 한 절임이 분명하다.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여음의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면 단순한 조음구의 역할, 시가의 전체를 마무리짓는 종결의 역할, 각 연과 여음 사이의 분리를 보여주는 분절의 기능, 음보나 음악적 요소의 길이를 고려한 해음적 기능, 마지막 부분에서 앞의 내용을 종합해주면서 감정을 절정으로 치닫게 하는 절정적 기능 등이 그 대표적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례들은 본론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결국 단락의 종지 기능과 다음 내용을 북돋아 주는 구실을 하는 것이 ‘위’ 부분이다. 의미상으로 보면 여음이 개입되는 곳은 현대시의 의미단락인 聯으로는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