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성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17:44
본문
Download : 향가의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성 고찰.hwp
Download : 향가의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성 고찰.hwp( 36 )
순서
향가의배경설화와향가의내용사이의관계성고찰






1. 서론
2. 서동요(薯童謠) -서동(맛둥방)의 노래
• <서동요>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3. 풍요(風謠)
• <풍요>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4. 헌화가(獻花歌) - 꽃을 꺾어 바치는 노래
• <헌화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5. 도솔가(兜率歌) - 월명
• <도솔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6.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득오곡
• <모죽지랑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7. 처용가(處容歌) - 처용
• <처용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8. 혜성가 - 융천사(融天師)
• <혜성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9. 원왕생가(願往生歌)
• <원왕생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10. 원가(怨歌)
• <원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11. 제망매가(祭亡妹歌) - 월명사
• <제망매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12. 안민가(安民歌) - 충담사
• <안민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13.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 희명
• <도천수관음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14. 우적가(遇賊歌) - 영재
• <우적가>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한편, <서동요>의 배경 설화에는 다른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서동을 백제 동성왕의 이름이라 하고 그가 신라와 통혼(통혼)한 사실을 근거로 동성왕의 이야기를 극화한 것으로 보는 경우와 익산 미륵사의 연기설화에도 <서동 설화>와 비슷한 것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백제가 망할 무렵 왕실의 원찰(원찰)이었던 미륵사를 신라의 군졸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백제가 신라와 과거부터 깊은 관계가 있었음을 꾸미기 위해 퍼트린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3. 풍요(風謠)
來如來如來如 (오다 오다 오다)
來如哀反多羅 (오다 셔럽다라 )
哀反多矣徒良 (서럽다 우리들이여)
功德修叱如良來如 (공덕 닦으러 오다)
● <풍요> 배경 설화와 내용 사이의 관계
작자와 창작 연대는 미상인 작품으로, <삼국유사> 양지사석(良志使釋)에 실려 있다 영묘사 불상을 만들 때 그 일을 도와주려고 모인 많은 사람들에게 이 노래를 지어 주어 일을 하면서 부르도록 하였다 한다.향가의배경설화와향가의내용사이의관계성고찰 , 향가의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성 고찰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향가의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성 고찰
향가는 고대인의 생활과 그들의 주술적 감수성과 서정이 한데 어울려 현실적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겠다. 곧 <풍요>는 민요란 뜻으로 성중의 남녀들이 불렀던 민요가 바로 이 노래이다…(drop)
다. 배경이 되는 산문 기록을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 사람들의 실제적인 생활에 매우 밀착된 시가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삼국유사에 사용된 `풍요`라는 명칭은 노래의 고유한 이름이 아니라 민요라는 노래 성격으로 부른 것이다. 이런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향가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배경이 되는 산문 기록을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 사람들의 실제적인 생활에 매우 밀착된 시가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설명
레포트/기타
향가는 고대인의 생활과 그들의 주술적 감수성과 서정이 한데 어울려 현실적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겠다. 이런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향가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 배경 설화와 향가의 내용 사이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