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port] 定義(정이)란 무엇인가 를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2 12:51
본문
Download :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를 읽고.hwp
간단히 말해서 공리주의는 쾌락과 고통 양 쪽을 저울질했을 때 쾌락이 큰 쪽을 선택해야 한다는 theory 이다. 도덕의 최고 원칙은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 쾌락이 고통을 넘어서도록 하여 전반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설명
독후감,정의란 무엇인가
다. 그런데 이렇게 정말 오랜만에 지역연구론 독후감 레포트를 통해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고급쾌락과 저급쾌락의 기준을 인간의 존엄성과 개성에서 찾았다. 그럼 본격적으로 책에 대한 간단한 요약과 함께 생각을 서술해 보고자 한다. 공리주의자 제러미 벤담에 따르면, 옳은 행위는 공리를 극대화하는 모든 행위이다. 따라서 모든 사람의 기호는 동등하게 계산된다 하지만 이 주장 또한 문제가 있다 첫째로 개인의 선호에도 고급쾌락과 저급쾌락이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교수님께서 제시한 책이 어떤 책인줄 모르고 그냥 아무 생각없이 이 책을 구입하게 되었는데 나름 베스트셀러이고 유명한 마이클 샌델이 쓴 책이어서 기대감을 안고 책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럼 본격적으로 책에 대한 간단한 요약과 함께 생각을 서술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렇게 정말 오랜만에 지역연구론 book report 리포트를 통해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book report] 定義(정이)란 무엇인가 를 읽고나서
우선 공리주의부터 하나씩 살펴보면 여기서 주장하는 the gist 사상은 간결하다. 이것은 스스로 공리주의자임을 자처한 존 스튜어트 밀의 주장이다. 여기서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내용은 최대 행복 원칙인 공리주의 원칙에서 처음 example(사례) 로 제시했던 영국 선원 네 명이 표류되어서, 먹을 게 없어서 굶어죽게 된 지경에서 그들 중 1명을 죽여 그의 살과 피를 먹으면서 살아남은 사건이 나오는데, 구조 후 재판을 받게 되는 상황에서, 책의 저자는 이들의 행동이 옳다, 定義(정의)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측으로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를 설명(explanation)한다.
Download :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를 읽고.hwp( 13 )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를 읽고-4262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4/%5B%EB%8F%85%ED%9B%84%EA%B0%90%5D%20%EC%A0%95%EC%9D%98%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20%EB%A5%BC%20%EC%9D%BD%EA%B3%A0-4262_01_.jpg)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를 읽고-4262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4/%5B%EB%8F%85%ED%9B%84%EA%B0%90%5D%20%EC%A0%95%EC%9D%98%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20%EB%A5%BC%20%EC%9D%BD%EA%B3%A0-4262_02_.jpg)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를 읽고-4262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4/%5B%EB%8F%85%ED%9B%84%EA%B0%90%5D%20%EC%A0%95%EC%9D%98%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20%EB%A5%BC%20%EC%9D%BD%EA%B3%A0-4262_03_.jpg)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를 읽고-4262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4/%5B%EB%8F%85%ED%9B%84%EA%B0%90%5D%20%EC%A0%95%EC%9D%98%EB%9E%80%20%EB%AC%B4%EC%97%87%EC%9D%B8%EA%B0%80%20%EB%A5%BC%20%EC%9D%BD%EA%B3%A0-4262_04_.jpg)
나는 평소에 책을 즐겨 읽지 않는 편이다. 이런 각각의 theory 과 반박 등을 통해서 책은 끊임없는 생각을 하게 한다. 또 사람들의 선호를 심판하지 않고 단지 그 무게를 잰다. 또한 공리주자들은 이런 논리가 행복을 계량하고 통합하고 계산하는 데 기초가 되는 도덕 과학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공리주의자라면 위의 example(사례) 에 대해 한 사람의 죽음이 나머지 세 사람의 목숨을 살렸으니 살해는 정당화될 수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희생이라는 비용보다 더 크다고 해서 정당화 될 수 있나, 그것이 잘못이 아닌가? 라는 반박이 나온다. 처음에는 교수님께서 제시한 책이 어떤 책인줄 모르고 그냥 아무 생각없이 이 책을 구입하게 되었는데 나름 베스트셀러이고 유명한 마이클 샌델이 쓴 책이어서 기대감을 안고 책을 읽을 수 있었다.
나는 평소에 책을 즐겨 읽지 않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