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한국의 정치 文化(문화)- 한국의 정치 文化(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10 04:54본문
Download : 한국의 정치 문화.hwp
광주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한 것과 대구에서 이회창이 압도적으로 승리한 것은 그 단면을 보여준다. 셋 모두가 구미, 울산, 포항 등지가 발전하도록 개발비용을 많이 주었다. 타 지역에 대한 단순한 배격과 자기 지역에 대한 극단의 이기심이 포함된 나쁜 감정이 생기게 된 것이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지역감정의 주 무대라고 할 수 있다아 [전라도는 민주당, 경상도는 한나라당] 이렇게 못박혀 있다아
설명
한국의 정치 문화 ( 지역주의 극복 ) ...
순서
지금 흔히 말하는 지역감정은 경제 개발 당시부터 생겼다고 볼 수 있다아 적은 자본을 들여 최대의 effect를 거두기 위해 균형 개발보다 거점 개발에 주력했다. 현재 지도에서 보면 동쪽이 서쪽에 비해 많이 발달되어 있는데 80년대 당시의 경제개발계획이 편중되어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이렇게 한 쪽만 개발되다 보니 자연히 개발되지 않은 지역은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이런 현상이 반복되다 보니 지금의 지역주의에 이르른 것이다. 이 때 집권당이 다음에도 자신들이 집권하기 위해 자신의 고향 등 몇몇 자기 지역구에만 왕창 퍼주기 식의 거점 개발을 유지해나갔다.
하지만 지역감정이 조금은 사라진 듯 하다. 이 나쁜 감정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방해하고 오히려 퇴보를 가져왔다.
[인문사회] 한국의 정치 文化(문화)- 한국의 정치 文化(문화)
다.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전 대통령이 모두 경상도 출신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경상도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전라도에서 90%의 지지율이 나왔고 고향인 김해에서의 득표율은 30%정도뿐이었다.
Download : 한국의 정치 문화.hwp( 44 )

한국의 정치 文化(문화) ( 지역주의 극복 ) ...
한국의 정치 文化(culture) ( 지역주의 극복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한국의 정치 문화 한국의 정치 문화
지역감정은 이번 선거에서도 드러났다. 노무현 대통령이...
지역감정은 역대부터 정권을 잡기위한 수단으로 국민들을 우롱한 정치적인 수단이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악습이다. 애꿎은 국민들만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정치인의 심리전에 말려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