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06 13:59
본문
Download :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hwp
제작비 때문에 TV홀로그램은 완전 입체가 아닌 부조 형태의 입체로 방송한다. 2시간 사이에 온 메일이 500여 통이 넘었다.
K는 메일을 삭제하고 TV보기 기능을 켰다. 버스에 탄 K는 도착지 알람표시를 해두고 등받이에 몸을 기댄다.
버스에서 내려 아파트 단지로 접어들 때 목욕 기능을 작동시키겠느냐고 묻는 메시지가 떴다.
유비쿼터스란 라틴어로‘ 언제 어디서나 있는 ’을 뜻하는 말로써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environment(환경) 을 의미며, 각종 기반 시설(도로, 교통, 항만, 물류등)등도 컴퓨터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상황을 인지토록 하여 보다 빠르고 쾌적한 environment(환경) 을 구축한다. K는 목욕기능을 작동시키고 실내온도 조절기능 단추도 눌렀다.
“20년 이내에 농업의 사실상 모든 측면, 즉 생각 할 수 있는 농업관리의 모든 가능한 측면에서의 감시, analysis(분석) , 권고 등이 컴퓨터의 통제하에 있을 것이다 “
1996년에 출판된 책임에도 불구하고 어언 13년이 지난 지금 놀랍게도 저자는 이런 시대가 올지 미리 analysis(분석) 하였고 그의 정확한 예측은 맞아 떨어졌다. 잠깐 졸더라도 집 부근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에 알람이 울릴 것이므로 염려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졸음은 오지 않았다... 즉, 컴퓨터로 인한 자동화된 시대라고 볼 수 있따
저자는 향후 다가올 시대를 정확히 예측하며 말한다. 그러나 개인적인 메일은 한 통도 없었다. 아파트 출입구에서 지문 스캐너에 엄지손가락을 댔다. 잠시 눈길을 창 밖으로 보냈던 K는 손목시계 휴대폰의 단추를 눌러 이메일을 확인하기 처음 했다. “안녕하세요. 좋은 하루 보내셨어요? 편한 밤 되세요”라는 인사말과 함께 출입구가 열렸다.
오늘날 컴퓨터와 첨단 정보기술의 발달로 슈퍼젖소를 만들어 우리는 많은 양의 우유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유전공학…(투비컨티뉴드 )
[독후감],노동의,종말,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 ,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
순서
설명
Download :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hwp( 27 )
![[독후감]%20노동의%20종말%20독후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EB%85%B8%EB%8F%99%EC%9D%98%20%EC%A2%85%EB%A7%90%20%EB%8F%85%ED%9B%84%EA%B0%90_hwp_01.gif)
![[독후감]%20노동의%20종말%20독후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EB%85%B8%EB%8F%99%EC%9D%98%20%EC%A2%85%EB%A7%90%20%EB%8F%85%ED%9B%84%EA%B0%90_hwp_02.gif)
![[독후감]%20노동의%20종말%20독후감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EB%85%B8%EB%8F%99%EC%9D%98%20%EC%A2%85%EB%A7%90%20%EB%8F%85%ED%9B%84%EA%B0%90_hwp_03.gif)
![[독후감]%20노동의%20종말%20독후감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20%EB%85%B8%EB%8F%99%EC%9D%98%20%EC%A2%85%EB%A7%90%20%EB%8F%85%ED%9B%84%EA%B0%90_hwp_04.gif)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
[독후감] 노동의 종말 독후감
다. 홀로그램이 차창에 비치며 아지랑이처럼 일렁거렸다.
‘가상으로 꾸며본 2020년 유비쿼터스의 하루‘ 라는 2008년에 쓰여진 인터넷(Internet) 기사의 일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