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23 23:10본문
Download :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hwp
보통이 프롬의 영향을 많이 받았구나, 싶을 정도로 두 책의 상관이 깊었다. 그러나 책을 펴자마자 그 기대를 저버리는 한 문장이 있었으니, ‘사랑의 기술(技術)에 대한 편리한 지침(指針)을 기대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읽고나서 실망을 느낄 것이다.’라고 프롬은 못 박았다. 그런데 현대 사회에서는 자본주의적 사고로 인해 사랑조차도 교환가치에 의해 주고받게 되었다.
사랑의 기술. 여기서 ‘기술’은 技術일까 記述일까 이 책의 이름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든 의문이었다. 원서의 title(제목)은 the art of loving이었던 것이다. 사랑은 ‘받는’ 문제가 아니라 ‘하는’ 문제이고,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대상’의 문제이며, ‘감정’이 아니라 ‘이성’이다.에리히,프롬,사랑,기술,읽고,감상서평,레포트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에리히 프롬 사랑 기술 읽고
순서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나서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읽은 후에 이 책을 읽었다.
첫 장 ‘사랑은 기술(技術)인가’는 사실 이 책의 전부였다. 그리고 ‘이 책은 개인의 성숙도와는 무관하게 쉽사리 향유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려는 것이다. 사랑의 본질과 오해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좀 더 고차원적인 사랑을 하자는 것. 사랑이라는 감정에 서툴러 때로는 마구 휘둘리기도 하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고찰을 하게 하는 책들이었다. 에리히 프롬이 연애의 ‘밀당’ 기술(技術)을 책으로 펴내지는 않았을 테고, 그렇다면 기술(記述)인가 서점에서 이 책을 꺼내 들었을 때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정답은 技術이기는 했으나, 뜻을 더 확실히 드러내는 ‘technology’나 ‘skill’ 같은 단어도 있는데 프롬은 왜 ‘art’를 썼을까 그에 대한 해답은 책을 읽으면서 찾기로 하고, 또 이러한 title(제목) 덕에 언제나 어려운 사랑이라는 감정을 다스리는 명쾌한 해결책을 알려줄 것만 같은 기대를 품으며 첫 장을 펼쳤다.’라는 문장을 덧붙인다. 사랑이 기술이 定義(정이) 서라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는 문제풀이집 같은 책이었다. 자신의 교환 가치를 파악하고…(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hwp( 19 )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다. 결국 두 저자가 궁극적으로 하고자 하는 말은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