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9 23:18본문
Download :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hwp
China 전통 철학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해 선하다고 주장하는 theory , 악하다고 주장하는 theory , 선과 악이 혼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theory , 선과 악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 theory 등, 다양한 관점이 있는데 이러한 theory 가운데 성선설과 성악설이 일정한 체계를 갖추면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다.
다. 또한 국가의 힘은 백성의 생산 · 전쟁 능력에서 나오기 때문에 관료의 착취와 비능률을 제거하고 백성의 이익을 옹호하는 것이 군주권과 국가 권력을 강화하는 길이다. 그것을 순자는 예(행위 규범), 한비자는 법과 권력(法治), 묵자는 하느님이라고 하였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우리들의 동양철학』, 동녘 1997년 p.68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은 “인간은 악하다”고 보므로 사회나 국가를 인간이 이끌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순서
③ 본성은 외부의 요소로 통제하면 선하게 된다. 따라서 성악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강력한 군주 theory 을 내세운다. 그것은 감성, 즉 감정 욕망이다. 본성에 대한 끝없는 논쟁은 본성을 통해 여러 현상들을 說明(설명) 해 왔고, 더불어 살아가는 동양 사회에서는 더 없이 중요한 것이 아닐 수가 없다. 그들도 이성을 이야기한다.



성악설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사회 정치 theory 의 받침돌이며, 현실적으로도 어떤 계층의 권력 장악을 옹호하는 이데올로기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본성론은 오래전부터 논쟁이 되어 왔었는데 동양에서 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본성은 외부의 통제를 받아들일
2. 성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성악설이 마음속의 본성을 감정 욕망이라고 보았다고 해서 마음의 이성적 측면을 부정한 것은 아니다. 국가의 구성원을 크게 보아 ‘백성-관료-군주’라고 한다면 성악설은 군주를 옹호하는 theory 이라고 볼 수 있다.
② 감성적 측면은 생리적 욕구로서 선한 것도 악한 것도 아니다(백지설). 그러나 그것을 그대로 내버려 두면 악하게 된다(성악설).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
Download :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hwp( 40 )
.
설명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렇게 볼 때 성선설과 성악설은 단순히 인간이란 어떠하다는 인간론을 넘어서서, 누가 권력을 잡아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논의로까지 연결된다. 그러나 그 이성은 성선설에서 주장하는 도덕적 이성과는 다르다. 냉혹한 현실, 혹은 전쟁을 통해 무고한 사람들의 생명이 위협받는 것에 철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인간이 추구할 보편적 가치와 본성 문제에 대해 더욱 깊은 관심을 기울이도록 유도한다. 그러므로 성악설은 백성을 옹호하는 theory 이기도 하다. 자신의 이익과 손해를 냉철하게 ‘계산하는 이성’, 혹은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도구로써의 이성이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관료 · 지식인 중심의 성선설과 대립한다. 이런 이성은 선천적 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제도와 권력을 최종적으로 쥐고 있는 사람이 군주이며 하느님을 대신해서 인간 사회를 통치하는 것이 바로 군주이다. 그들은 인간의 바깥에서 국가 사회를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을 찾는다. 우리는 이번 시간에 인간의 본성론을 말함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성악설, 성선설, 성무선무악설에 상대하여 토론 주제와 함께 자신의 입장을 논증하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
① 본성의 의미는 ‘타고난 것’이다. 예(周禮)나 법은 국가의 제도이며, 이 제도를 운용하는 힘이 권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