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g.co.kr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 > kbg3 | kbg.co.kr report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 > kbg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bg3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2 22:52

본문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hwp





맥오버는 작곡가인 동시에 새로운 전자악기인 하이퍼인스트루먼트를 제작한 컴퓨터 엔지니어이기도 하다.
주로 탁월한 기량의 대가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하이퍼인스트루먼트 작업은 1991년부터 그 대상 범위가 휠씬 확대되어 초보자들, 학생들들 포함한 음악애호가들에게 초점이 모아…(생략(省略))
디지털%20시대의%20음악%20두뇌%20오페라(Brain%20Opera)_hwp_01.gif 디지털%20시대의%20음악%20두뇌%20오페라(Brain%20Opera)_hwp_02.gif 디지털%20시대의%20음악%20두뇌%20오페라(Brain%20Opera)_hwp_03.gif 디지털%20시대의%20음악%20두뇌%20오페라(Brain%20Opera)_hwp_04.gif 디지털%20시대의%20음악%20두뇌%20오페라(Brain%20Opera)_hwp_05.gif 디지털%20시대의%20음악%20두뇌%20오페라(Brain%20Opera)_hwp_06.gif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hwp( 41 )




설명



디지털 방식으로 작곡되고 연주되는 음악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라기 보다는 디지털 방식이 작곡과 연주 감상에 골고루 반영된 특정 작품의 예를 통하여 가장 선구적으로 진행되는 최근 음악의 동향과 未來 음악의 향방을 intro 하고자 한다. 그러나 두뇌 오페라에서는 마빈 민스키가 낭송하는 이야기는 1막에 국한되어 나오며 2막은 하이퍼인스트루먼트의 연주가 주를 이룬다.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


디지털 방식으로 작곡되고 연주되는 음악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라기 보다는 디지털 방식이 작곡과 연주 감상에 골고루 반영된 특정 작품의 예를 통하여 가장 선구적으로 진행되는 최근 음악의 동향과 미래 음악의 향방을 소개하고자 한다. , 디지털 시대의 음악: 두뇌 오페라(Brain Opera)인문사회레포트 ,

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들어가는말>

I. 두뇌오페라의 일반적 개요
1) 하이퍼인스트루먼트 (Hyperinstruments)
2) 디지털 바톤 (Digital Baton)
3) 지휘용 자켓 (Conducting Jacket)
4) 마술적 음악 혼합 (Magic Musical Mixing)
5) 주무를 수 있는 음악(Sqeezable Music)
6) 인터넷(Internet) 상의 음악 연주 (Performance on the Internet)
7) 음악적 장난감(Musical Toys)
8) 잡아늘일 수 있는 음악(Stretchable Music)
9) 트라이앵글스(Triangles)
10) 입을 수 있는 음악(Wearable music)

2. 두뇌오페라의 기술적 시스템
마음의 숲(Mind Forest)
1) 노래하는 나무들 (The Singing Trees)
2) 말하는 나무들 (The Speaking Trees)
3) 리듬 나무들(Rhythm Trees)
4) 화성적 운전(Harmonic Driving)
5) 제스츄어 벽(The Gesture Wall)
6) 선율적 화가(畵架) (The Melody Easel)
Net Music

3. 두뇌오페라의 음악적 구성
1악장:
제2악장
3악장(Finale)

<나가는 말>

1) 하이퍼인스트루먼트 (Hyperinstruments)
전통적 오페라를 살펴보면 보통 작곡가와 대본가가 분리되어 있으며 두 사람은 오페라의 작곡과정에서 긴밀하게 대화하면서 음악적 구성요소들을 재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이퍼인스트루먼트 작업은 1986년에 처음 된 것으로 기술을 활용, 악기의 기능을 최대한 확대하여 연주 대가들에게 보다 더 강력하고 정교한 악기를 선사하기 위한 목적에서 처음 되었다. 하이퍼인스트루먼트 아이디어는 기타, 키보드, 타악기군과 현악기(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는 물론 지휘에까지 그 기능을 증대시키도록 고안되었으며 이러한 악기들의 기능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주자들의 탁월한 연주를 통하여 증명되었다: 첼리스트 요요마, 로스엔젤레스 필하모닉, 피터 가브리엘, 마술사 펜 앤 텔러(Pen and Teller) 등이 그 예이다.
전체 18,06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b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