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도서관건물 답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1 15:34
본문
Download : 나의 도서관건물 답사기.hwp
Download : 나의 도서관건물 답사기.hwp( 92 )
다.올해 여름 도서관 시설환경과 관련하여 부산과 서울 지역의 도서관 관련 건물을 탐방하였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도서관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실의 냉방 시설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모든 도서관은 훼손이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기구를 제외한 이용자의 가방을 실 외부에 보관한 후 출입하게 하고 있었다. 그리고 8월 1일 용산도서관, 남산도서관, 교보문고, 종로서적, 영풍문고, LG상남도서관, 영풍문고 강남점, 국립중앙도서관을, 8월 2일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성동문화정보센터,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마포도서관, 정독도서관을 둘러보았다. 7월 18일 금정문화회관, 시네마테크, 부산시립미술관을, 7월 19일 경성대학교 전자도서실, 부산남구도서관, 교보문고정보센터, 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을, 7월 20일 양산대학 도서관, 울산과학대학 동부캠퍼스 도서관을 견학하였다. 이를테면 하이팩 의자나 PVC + 스테인레스 의자, MDF 재질의 테이블 등은 원목에 버금가는 견고성을 가졌고 비용도 저렴하다. 특히 도서관 가구는 모든 사람들이 수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떠올리는 고정적인 이미지(고동색이나 황토색의 서가, 테이블, 의자)가 있따 물론 원목이 가장 견고한 재질임은 분명하나, 지금은 그에 못지 않은 재질의 가구가 많다. 이 글은 간략한 도서관 시설환경 탐방기라 할 수 있다. 이제 에어컨은 상업시설의 전유물이 아니다. 그리고 8월 1일 용산도서관, 남산도서관, 교보문고, 종로서적, 영풍문고, LG상남도서관, 영풍문고 강남점, 국립중앙도서관을, 8월 2일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성동文化(문화)정보센터,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마포도서관, 정독도서관을 둘러보았다. 500원 동전을 넣고 이용이 끝나면…(dro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나의 도서관건물 답사기
설명
순서
올해 여름 도서관 시설환경과 관련하여 부산과 서울 지역의 도서관 관련 건물을 탐방하였다. 7월 18일 금정文化(문화)회관, 시네마테크, 부산시립미술관을, 7월 19일 경성대학교 전자도서실, 부산남구도서관, 교보문고정보센터, 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을, 7월 20일 양산대학 도서관, 울산과학대학 동부캠퍼스 도서관을 견학하였다. , 나의 도서관건물 답사기인문사회레포트 ,
○ 부산시립미술관 도서실
○ 시네마테크 실
○ 부산남구도서관
○ 양산대학 도서관
○ 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 울산과학대학 도서관
○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 용산도서관
○ 남산도서관
○ 성동文化(culture) 정보센터
○ 마포도서관
도서관의 3대 요소는 직원, , 시설이다. 그간 직원이나 에 마주향하여 는 도서관계나 학계에서 많은 연구를 해왔으나 시설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소홀했던 것 같다.
일부를 제외하고는, 도서관은 실만큼은 냉방기를 가동하고 있었다. 다만 대중목욕탕처럼 열쇠가 보관함에 꽂혀 있고 필요한 이용자가 쓴 후 열쇠를 다시 꽂아두게 하는 방식은 열쇠의 분실이 많아서(성동文化(culture) 정보센터는 대형할인매장처럼 동전투입식 보관함 제도를 운영한다. 이 글은 간략한 도서관 시설환경 탐방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