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2 23:27
본문
Download :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hwp
Ⅰ. 검사의 개관
1. 검사의 necessity need 및 목적
학교수업의 주요 목적은 아동이 의도한 학습성과에 도달하도록 돕는 것이다.up기초학습기능검사의구성과활용방안 ,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의약보건레포트 ,
다. 이러한 입장에서 교실수업을 볼 때 평가는 교수-학습과정의(定義) 중요한 부분이 된다된다. 평가를 통해 특수교육 요구아동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hwp( 23 )
순서
본 reference(자료)는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에 대해 정리(arrangement)한 보고서입니다.
Ⅰ. 검사의 개관
1. 검사의 necessity need 및 목적
2. 검사의 특징과 구성
3. 소검사별 측정(測定) 내용
Ⅱ. 검사의 실시와 채점
1. 검사 장소 및 시간
2. 검사 실시 순서
3. 검사 실시를 위한 일반적 원칙
4. 각 소검사의 실시와 채점
Ⅲ. 검사 결과의 해석
1. 백분위 점수의 산출 및 해석
2. 학년(연령)점수의 해석
3. 검사 결과의 처리 및 해석의 사례(instance)
Ⅳ. 검사의 활용
특수교육대상자를 선정-배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진단-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특수교육진흥법 시행규칙 제3조 3항(별표1)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을 위한 장애영역별 진단-평가 도구를 규정하고 있다아 즉,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아동에게는 기초학습기능검사, 시기능 및 촉기능 검사, 청력검사; 정신지체 아동에게는 지능검사, 사회성숙도 검사, adaptation(적응) 행동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 운동능력검사; 정서장애 아동에게는 adaptation(적응) 행동검사, 성격진단검사, 행동발달평가, 학습준비도검사; 언어장애 아동에게는 구문검사, 음운검사, 언어발달 검사; 학습장애 아동에게는 지능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 학습준비도검사, 시지각발달검사, 지각운동발달검사, 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 등이다.
이상의 진단·평가 도구 중에는 정서장애와 언어장애를 제외한 전 장애영역에서 기초학습기능검사가 포함되어 있다아 따라서 기초학습기능검사는 특수교육 대상 아동을 선정·배치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검사라 할 수 있다아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이 특수교육 대상 아동을 선정, 배치하는데 유용한 기초학습 기능 검사에 대한 내용 구성과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학습 성과는 지적, 정의(定義)적 및 신체적 영역에서의 아동 행동의 바람직한 change(변화)를 의미한다.
셋째, 검사 결과를 규준에 비추어 해석하는 방법을 설명(explanation)하고 구체적인 해석의 예와 검사 의 활용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습기능검사의 necessity need과 목적, 검사의 구성 및 소검사별 측정(測定) 내용을 살펴본다.
둘째, 일반적인 검사의 실시와 채점방법 및 각 소검사별 구체적인 실시와 채점 방법에 대 해 살펴본다.
설명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






레포트/의약보건
up기초학습기능검사의구성과활용방안
,의약보건,레포트
본 자료는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구성과 활용 방안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