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g.co.kr [논문 요약] 근대 文化(문화)에 대한 성찰과 future 文化(문화)에 대한 展望(전망) > kbg6 | kbg.co.kr report

[논문 요약] 근대 文化(문화)에 대한 성찰과 future 文化(문화)에 대한 展望(전망) > kbg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bg6

[논문 요약] 근대 文化(문화)에 대한 성찰과 future 文化(문화)에 대한 展望(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16:56

본문




Download :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hwp




사상적으로 근대는 우리가 흔히 철학적





설명

순서

Download :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hwp( 79 )


[논문 요약] 근대 文化(culture) 에 대한 성찰과 future(미래) 文化(culture) 에 대한 전망
[논문 요약] 근대 文化(문화)에 대한 성찰과 future 文化(문화)에 대한 展望(전망)
.
다. 첫째, 근대-근대성(modernity)을 통틀어 악당/실패/오류로 돌리는 최근의 국내 담론 경향들은 근대의 복합적 국면들과 다층적 성격들을 무시한, 그러므로 그 자체 심각한 오류에 빠져들 수 있는 극히 위험한 formula(공식)이라는 점이다. 셋째, 서구에서 근대가 성찰되는 방식과 한국에서의 성찰 방식은 같은 것이 아니고 같은 것일 수 없다. 이 말은 근대 성찰이라는 작업이 성찰 주체의 history적 위치성을 개입시킨 성찰인가 아니면 초문맥적 일반적 성찰인가가 분명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근대는 단일성의 체계가 아니며 하나의 formula(공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일차함수적 대상도 아닐것이다. 근대(modernity), 모더니즘(modernism), 근대화(modernization)는 서로 연관된 定義(정이) 이지만 반드시, 모든 경우에, 구분될 필요가 있는 용어들이다. 그러나 근대文化(culture) 라는 말로 우리는 무엇을 지칭하는가? 성찰 대상으로서의 근대文化(culture) 랄 때 그 성찰의 대상은 정확히 무엇인가? 최근 국내 인문사회과학 담론의 일반적 추세는 근대 곧 성찰-반성-비판의 대상이라는 formula(공식)을 보이고 있다. 근대(modernity)는 시기적으로 18세기 이후 20세기 전반부까지 약 2백년간 서구에서 진행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사상적 변화들을 포괄하고 그 변화의 history적 특징과 특수성을 지칭한다. . 둘째, 성찰이라는 용어를 그 가장 넓은 의미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우리는 근대의 부정적 국면들과 긍정적 국면들에 대한 분별(distinction)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다. 정치적으로 그것은 절대왕정체제(혹은 구체제)로부터 민주적 국민국가 혹은 공화국체제로의 이행을 의미하고, 경제적으로는 근대 기술과 산업의 대두에 의한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대두를 의미하며, 사회적으로는 산업중심지(도시)로의 인구집중과 대중사회 출현, 전통사회 규범과 질서의 와해, 노-사 계급의 출현, 사회 각 영역의 합리화 과정 등을 의미한다. 이 분별이 포기될 때 우리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유행어법에 말려 근대=악당이라는 단순화의 함정에 빠진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과 미래 문화에 대한 전망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3176_01_.jpg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3176_02_.jpg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3176_03_.jpg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3176_04_.jpg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3176_05_.jpg


.



[논문 요약] 근대 文化(문화)에 대한 성찰과 future 文化(문화)에 대한 展望(전망)

(2) 나는 우선 네 가지 관점을 명확히 밝히는 것으로 오늘 토론을 출발시키고자 한다. 이 formula(공식)에서 근대는 마땅히 비판되어야 할 악당이거나 반성이 필요한 모종의 실패이며, 가장 완곡히 표현했을 때 근대는 앤소니 기든스/울리히 백 류의 사회학적 문제의식에서처럼 성찰의 근대로 파악된다 오늘 우리의 화두인 근대文化(culture) 에 대한 성찰도 근대에 대한 성찰과 같은 의미의 것인가?

.
[논문 요약] 근대 文化(문화)에 대한 성찰과 future 文化(문화)에 대한 展望(전망)


(3) 나는 인문학도이며 인문학도이기 때문에 유령을 존경하지만, 가능한 한 토론의 정밀성을 위해 위의 문제들 중에서 네번째의 것, 곧 내가 사용할, 그리고 지금까지 내가 여러 경우에 사용해온, 용어-定義(정이) 의 기본적인 구분과 한정부터 제시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부분이 모호할 때 토론은 무용한 혼란에 빠지고 성찰 작업은 유령 사냥과 흡사한 것이 된다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과 미래 문화에 대한 전망 [논문 요약] 근대 문화에 대한 성찰과 미래 문화에 대한 전망

(1) 근대文化(culture) 에 대한 성찰이라는 주문이 의미하는 것은 성찰의 대상으로서의 근대文化(culture) 이다. 넷째, 발제 모두에 제기했듯 용어와 定義(정이) 이 가능한 한 정확성혹은 정밀성을 지녀야 한다는 점이다.
전체 18,18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b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