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협동조합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9 09:52본문
Download : 협동조합 발전방향.hwp
협동조합 발전방향
[중요] 협동조합 발전방향
1928년 동경에 있던 `협동조합운동사`의 본부를 서울로 옮기고 본격적인 협동조합운동을 전개. 그 해 가을에는 충남 경남 경북에 22개의 조합 설립, 조합원수 약 5천명. 농촌의 피폐와 대중생활의 궁핍화, 빈부격차의 확대는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불러 일으켜 1932년 말에는 80개 조합에 2만명의 조합원을 확보.
- 일제의 해산명령과 집요한 탄압으로 인해 자생적 협동조합운동은 1933년에 이르러 강제해산.
- 문헌상으로 확인된 최초의 협동조합은 3. 1운동 이듬해인 1920년에 설립된 경성소비조합과 목포소비조합, 그 1년 후인 1921년에 조선로동공제회의 부속기관으로 소비조합이 조직.
- 관제조합 : 금융조합과 산업조합, 그 하부조직이었던 식산계 및 농회, 기본적으로 식민통치기구의 일부이며 우리의 자생적·자율적 협동조합을 봉쇄하는 의도를 가지고 그러한 기능을 담당했음.
- 1926년 봄, 일본 동경에서 `협동조합운동사`를 조직하고 기관지인 {조선경제}를 발간. 그 해 여름 간부 몇 사람이 귀국하여 경북지역에서 협동조합에 대한 계몽활동을 하였고, 1927년 경북의 상주 함창 등에서 협동조합을 설립.
협동조합 발전방향
레포트 > 기타
- 일제하의 우리 역싸를 일제에 대한 저항의 역싸로 파악한다면 우리민족의 능동적인 민간협동조합에서 협동조합운동의 뿌리를 찾을 수 있음.
협동조합 발전방향
순서
Download : 협동조합 발전방향.hwp( 28 )

- 협동조합이란 資本主義와의 관계 속에서 생성된 역싸적 실체
- 전통적 협동조직 즉 두레.품앗이.계.향약
-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역싸는 우리나라가 일본의 자본주의에 편입된 일제시대부터 스타트
2. 일제하 자주적 민간협동조합운동
- 천도교계에서는 1925년에 `조선농민사`를 조직하면서 협동조합운동을 스타트. `조선농민사`는 농민의 지위향상과 복리증진을 표방, 교세확장과 교도(敎徒)들의 생활향상을 위해 교도 중심으로 스타트. 이 운동은 함경남도와 평안북도를 중심으로 전개, 농민에게 생활물자의 구매알선, 생산물의 판매알선 등 농민생활과 직결된 각종 사업을 전개. 1928년에는 조직체계를 정비하여 중앙에 `조선농민사`, 각 군에 `군농민사`, 이동(里洞)에는 `이동농민사`를 두었음. 야간학교를 개설하여 순회강좌를 개최하였으며, {농민공생조합중앙회}산하에 소비조합, 생산자조합, 이용조합, 신용조합을 두었음. 최전성기에는 조합원수가 15만명에 달으나, 조합원을 교도(敎徒)로 제한하고 운영이 미숙하여 크게 성공하지 못했으며 일제의 탄압으로 활
- 민간협동조합운동의 본격적 확산 : 동경유학생 중심의 협동조합운동사, 천도교의 조선농민사, 기독교 (YMCA)계의 농촌협동조합
- 전통적 협동조직과 근대적 협동조합 사이에 정서상의 연관
설명
1.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뿌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