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소설로서의 홍길동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6 05:50본문
Download : 낙원소설로서의 홍길동전.hwp
이재수는 <홍길동전>의 이상국 건설은 …(省略)
Download : 낙원소설로서의 홍길동전.hwp( 32 )
다. <홍길동전>의 줄거리는 탁월한 능력을 지녔지만 서얼로 태어난 홍길동이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여 집을 나와, 도둑의 우두머리가 되어 신출귀몰한 도술로써 탐관오리나 관아의 재물을 빼앗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주는 등 사회를 혼란시키다가 마침내 임금으로부터 병조판서 벼슬을 하사받게 되고, 그후 중국(中國) 남양에 있는 율도국을 정벌하여 왕이 되는 결말로 끝맺는다.
낙원소설로서의홍길동전
낙원소설로서의홍길동전 , 낙원소설로서의 홍길동전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낙원소설로서의 홍길동전
설명





<홍길동전>은 영웅소설, 고아소설, 도술소설, 사회소설 등 다양한 분류 양식에 속하는, 복합적인 소설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홍길동전>의 간략한 줄거리 안에서 주인공 홍길동의 사회체재에 대한 불만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력을 통한 영웅적 행위가 그대로 나타나, 이 소설이 영웅소설, 도술소설, 사회소설 등으로 불리어질 수 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따
그러나 홍길동이 율도국을 세우게 되는 소설의 마지막 후반부는 이상향을 실현하는 서구의 유토피아적 소설 형태를 띠고 있따 유토피아라는 단어 자체는 토마스 모어가 그리스어의 ou(no) topos(place)를 결합해서 만든 새로운 말이다. 본래는 `아무데도 없는 장소`를 의미하며, 1916년 T.모어의 저서 [Utopia]에서 기원되었다. 홍길동이 병조판서를 제수받아 조선을 떠나는 것으로 결말이 끝난다면 좀더 완벽한 구성을 갖추게 되지만, 율도국 건설과 거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이라는 또다른 이야깃거리를 부연시킴으로써 사실상 또 한편의 짧은 소설을 첨가시켰다는 인상이 짙다고 할 수 있따 따라서 율도국 이야기를 앞의 이야기와 연속되지 않는 별개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했다.
<홍길동전>에서 율도국 건설은 소설의 서사구조상 문제성을 띠고 부분이다. 유토피아란 우리 말의 낙원과 유사한 뜻으로 낙원의 사전적 의미는 `세상과 떨어진 걱정 없이 즐겁고 살기 좋은 곳, 또는 천국`이다. 따라서 <홍길동전>에 낙원소설이라는 또 하나의 분류 양식을 덧붙이면서, 율도국의 낙원으로서의 성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